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EC2
- bitbucket
- 리액트
- AWS
- sourcetree
- flutter
- react-native
- not working
- 데이터바인딩
- aPK
- 안드로이드
- Invalid credentials
- Android
- 안됨
- 뒤로가기 안됨
- 리액트 네이티브
- git인증
- react
- 설정
- WPF
- 예제
- 빌드 오류
- gradle
- Kotlin
- 개발환경설정
- 인증문제해결
- VisualStudio
- 디버깅
- Git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서버 (1)
물에 살고싶은 개발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tXTq/btq6N3RmW2G/BqHZXQzhlvD2BWQxKn8tCK/img.png)
시작하기에 앞서, 이 글은 AWS EC2 서버(이하 서버)를 전제로 설명하는 글이며, 필요한 프로그램이나 키 파일을 마련하는 방법에 대해선 간단한 설명글 링크만 두고 넘어가고 코드 업로드 및 배포방법에 대해서만 다룬다는것을 미리 밝힙니다. 또한, 기술은 편의상 프론트는 React, 백앤드는 Node, 서버 실행은 forever를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사실 특정 기술스택은 큰 의미는 없음;) 언제나 그랫듯 선결론 선 요약 1. 개발한 코드 파일을 서버에 업로드 2. SSH 접속으로 해당 코드를 실행 혹은 관련 프로그램을 시작 또는 재시작 시작 ! 백앤드나 웹을 개발하고 나면 언젠가는 로컬에서 npm start 등의 명령어로 실행해서 테스트하던것(localhost:8080 등의 주소)에서 벗어나 실제 ur..
AWS
2021. 6. 8.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