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not working
- bitbucket
- react-native
- 안드로이드
- AWS
- 예제
- 빌드 오류
- 인증문제해결
- Invalid credentials
- 디버깅
- 설정
- 개발환경설정
- react
- 리액트
- Kotlin
- git인증
- aPK
- 뒤로가기 안됨
- VisualStudio
- flutter
- WPF
- sourcetree
- 리액트 네이티브
- gradle
- Android
- Git
- 안됨
- EC2
- 데이터바인딩
- Today
- Total
목록리액트 네이티브 (7)
물에 살고싶은 개발자
언제나처럼 선결론! 결국 유의미한 답변은 얻을 수 없었고, 윈도우의 초기화(포맷을 좀 더 쉽게 해주는 윈도우10의 기능) 후 다시 개발환경을 세팅하고 빌드하는데 성공했다... 현재까지도 여전히 답은 그냥 포맷인걸로.. -------------------------------------------------------------------------------------------------------------------------- (주의!!: 이 글은 결론이 없으므로 푸념식 주저리주저리가 이어집니다.) react-native run-android build successful access is denied.react-native run-android build successful but not wor..
이번에는 정말 기초적인 원인으로 인해 날 괴롭혔던 is not a function 에 대한 글이다. 분명 오타도 없고 제대로 실행될거같은데, 생기는 경우에 이 글을 참고해보자. 범위(scope) 문제다. 너무나도 잘알고 있고 익숙하지만 그래서 간과한 원인인셈이다. 아래와 같은 코드가 있다고 치자_set = () => { setTimeout(() => { this._goTo(); }, 4000); }; 여기서 4초 후 _goTo() 를 실행하면 _goTo is not a function 이 등장한다.method 호출뿐만 아니라 state나 props 등 다 안된다.(정확한 원인은 모르겠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_set() 안에서 호출하는건 정상적으로 되지만 저 setTimeout 안에는 별개의 범위로 인식되..
릴리즈 빌드를 위해 사이닝방법은 많으니까 생략 만약 기존방법대로 어셈블릴리즈 했는데 중간에 무한로딩한다? 1. 번들생성react-native bundle --assets-dest ./android/app/src/main/res/ --entry-file ./index.js --bundle-output ./android/app/src/main/assets/index.android.bundle --platform android --dev false 2. apk 추출./gradlew assembleRelease -x bundleReleaseJsAndAssets 지루한 설명에 들어가자면, 번들생성 명령어는 검색하면 그냥 나오는거니까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중요한건 2번에서 쓰는 명령어인데, 기본적으로 /gradle..
한줄결론부터 시작한다. 리액트 네이티브로 빌드한 앱에서 원격 아이피와 현재 개발하고있는 PC 혹은 노트북의 아이피가 같은지 체크하자. 리액트 네이티브는 디버깅, 즉 테스트를 위해 로컬 노드서버를 켜고 해당 서버를 통해 앱과 실시간 통신해서 변경점이 있으면 즉시 반영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윈도우라면 파워셀이나 cmd에서 cd 명령어로 리팩트 네이티브 폴더로 이동 후 react-native run-android 를 실행했을때 안드로이드 네이티브처럼 앱을 빌드 후 바로 실행되는것이 아니고, 노드서버를 기동한다. 노드서버가 기동이 되면 디바이스와 연동해 디버깅을 진행하는 것이다. 아무튼 사전설명은 이쯤하고 정말 단순하기 짝이 없는, 하지만 충분히 간과하기 쉬운 원인 그리고 해결법을 공유하고자 글을 쓴다...
단도직입적으로 바로 시작 ! 그리고 결론 ! RN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해 이해하고 사용하자 !생성자에서 this.props.navigation.navigate("open")을 사용해서 해당 에러가 발생한 경우, 생성자 말고 componentDidMount() 를 이용하면 된다. 즉, props가 세팅 된 후에 사용하면 된다! 뜬금없는 추가 팁. 생성자엔 super(); 가 꼭 있어야한다. 없으면 무슨일이 발생하는지 궁금하면 생성자를 정의해놓고 직접 확인해보시라. Cannot read property 'navigation' of undefined 이라는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내 경우에는 App.js에 사용할 화면들을 쭉 정의해놓고 시작하자마자 스플래시 화면으로 보내려고 했다.자연스레 생성자에서 thi..
이 글에선 React-native(이하 RN) 를 이용해 간단한 로그인화면과 화면이동들을 구현하면서 익힌것들을 쓸 것이다.일단 RN을 설치 후 회고록를 작성하고나서도 정신못차리고 검색과 코딩의 비율이 7:3을 넘지 못하며 시간을 보낸글임을 미리 밝힌다ㅠㅠ 처음엔 무조건 시작해서 텍스트 만들어보고 버튼만들어보고 하는 식으로 시작했다. expo 프로젝트로 이것저것 시험해보다가 네이티브 모듈을 붙일땐 어쩌지? 하는 생각이 들어 확인해보니expo에는 네이티브 모듈을 못붙인다는 정보를 입수(!!) 애초에 이번 프로젝트엔 구글맵api부터 시작해서 네이티브기능이 덕지덕지 붙을 예정이었기에 expo를 끌고갈순 없었다..개꿀이었는데...눈물을 머금고 포기 RN 공식홈페이지 문서를 따라 프로젝트를 재 생성하고 버튼이니 텍..
이 글은 다음번에 새로운 기술을 시작할때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한 글이다.(즉 내가 보기위한 글이다.) 사실 이 글을 쓰는 지금시점에서도 웹스톰을 포기하고 vsc로 개발을 해야하는 타이밍이긴 하지만,지금 개발을 들어가면 글쓰기를 미루고 미루다 결국 안쓸것같아서 미리 쓰고 간다.긴 글이 될지 안될지는 써봐야 알것같다. 있었던 일을 날것 그대로 전하고싶기에 편집없이 횡설수설 할 예정이다. 일단 시작하기전 요약부터하자면1. 리액트 네이티브의 기술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뭔 장단점을 가졌는지 파악(블로그를 주로 봣고 공홈은 번역기의 힘을 빌어 장점만 참고함)2. 개발환경 구축하는법과 개발툴에 대해 검색 -> 이 과정에서 기존에 익숙한 inteliJ 기반의 웹스톰을 선택(난 안드로이드 개발자였기때문)3. 시간을 ..